티스토리 뷰
kubectx
현재 바라보고 있는 K8S Context를 설정하거나, 등록된 K8S Context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K8s Context는 /.kube/config 에 등록되어있습니다.
설치
brew install kubectx
메뉴얼
kubectx --help
USAGE:
kubectx : list the contexts
kubectx <NAME> : switch to context <NAME>
kubectx - : switch to the previous context
kubectx -c, --current : show the current context name
kubectx <NEW_NAME>=<NAME> : rename context <NAME> to <NEW_NAME>
kubectx <NEW_NAME>=. : rename current-context to <NEW_NAME>
kubectx -d <NAME> [<NAME...>] : delete context <NAME> ('.' for current-context)
(this command won't delete the user/cluster entry
that is used by the context)
kubectx -u, --unset : unset the current context
kubectx -h,--help : show this message
1. 등록된 K8S Context 확인하기
kubectx

현재 바라보고 있는 K8S Context는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.
2. K8S Context Switching
# kubectx <k8s context name>
kubectx docker-desktop

현재 바라보고 있는 K8S Context를 특정 K8s Context로 Switching 할 수 있습니다.
kubens
현재 바라보고 있는 K8S Context 에서 바라보고 있는 namespace를 설정하거나, 존재하는 namespace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설치
brew install kubens
메뉴얼
USAGE:
kubens : list the namespaces in the current context
kubens <NAME> : change the active namespace of current context
kubens - : switch to the previous namespace in this context
kubens -c, --current : show the current namespace
kubens -h,--help : show this message
1. 존재하는 Namespace 확인하기
kubens


kubectl get ns 결과와 동일하며, 기본으로 K8S 리소스 질의에 사용하는 namespace는 노란색으로 표시됩니다.
2. Namespace Switching
# kubens <k8s namespace name>
kubens kube-system

K8S 리소스 질의에 사용하는 기본 namespace 를 변경합니다.
kube-ps1
현재 바라보고 있는 K8S Context와 K8S Namespace를 Prompt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onmosco/kube-ps1
README에 커스터마이징 하는 방법과 On/Off 방법등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.
설치
brew install kube-ps1
Make sure kube-ps1 is loaded from your ~/.zshrc and/or ~/.bashrc:
source "/opt/homebrew/opt/kube-ps1/share/kube-ps1.sh"
PS1='$(kube_ps1)'$PS1
결과

Prompt 창에서 현재 바라보고 있는 K8s Context와 Namespace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fzf
command-line fuzzy finder
Github : https://github.com/junegunn/fzf
fzf가 깔려있다면, kubens , kubectx 명령어를 Interactive 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설치
brew install fzf
kubectx + fzf


검색을 통하여 필터링할 수도 있으며, 키보드를 통하여 주어진 결과에 대하여 포커스를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. 또한 엔터를 누를 경우 포커스한 context 로 기본 context 를 변경합니다.
kubens + fzf


검색을 통하여 필터링할 수도 있으며, 키보드를 통하여 주어진 결과에 대하여 포커스를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. 또한 엔터를 누를 경우 포커스한 namespace 로 기본 namespace 를 변경합니다.

kubectl auto completion
Document : Link
# .zshrc 하단에 추가
source <(kubectl completion zsh)

p까지만 치고 Tab을 누를 경우 자동 완성 가능한 커맨드들이 보입니다.
알면 편한 다른 플러그인 및 스크립트
K9S
Kubectl 기반 CUI 프로그램입니다.

Lens
Kubectl 기반 GUI 프로그램입니다.

VSCode K8s Extension
VSCode Extension으로 리소스를 빠르게 편집할 수 있고, Export(Command + S)할 수 있으며, 부가적인 기능(Service Port Forward, Debug, ...)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로그 출력 관련 스크립트
kubectl-neat
kubectltail
'클라우드 > 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Native 그게 뭘까?! (0) | 2022.07.24 |
---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구현
- 쓰레드
- k8s
- dsu
- 문자열
- 카카오
- BFS
- 회고
- 우선순위큐
- 정렬
- 프로그래머스
- 스트림
- Java
- 해쉬
- set
- kotlin
- JPA
- 연결리스트
- 비트연산
- Uber
- 코드 스니펫
- 오늘의집
- dp
- 코딩인터뷰
- sql
- 알고리즘
- 스택
- 탐욕법
- TDD
- df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